모세가 산에서 더디 내려오므로 백성이 방자하여 금송아지를 만들고 그 앞에서 뛰노는 모습입니다.
이것을 만드는 일을 주도한 자는 다름아닌 아론이었습니다.
이 사건에 대하여 변명하는 아론과 책임지며 생명걸고 중보하는 모세가 비교되고 있습니다.
(15-20절)
모세의 손에는 하나님께서 친히 기록하신 십계명인 두 증거판이 있습니다.
그런데 백성이 우상을 만들어 제사하며 잔치하는 모습을 보고서 크게 노하여 손에서 그 판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립니다. 모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백성들이 지키고 따라야 할 언약의 법을 받아 내려왔으나 정작 이를 실천해야 할 백성들은 그와 반대되는 행동을 하고 있었기에 모세는 증거 판을 깨뜨림으로써 언약의 효력이 상실되고 파기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세가 깨뜨린 것은 법이 새겨진 돌판이며, 그 법 자체를 깨뜨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모세가 다시 법을 받으러 산으로 올라갔음(출 34:4)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진노는 레위족속의 결단과 모세의 기도를 통하여 회복되어 갑니다.
그리고 금송아지를 불살라 가루로 만들어 이스라엘 자손에게 마시게 함으로써 우상의 무익함을 보여 줍니다.
(21-24절)
모세는 산 아래로 내려와 우상을 만들어 섬기며 춤추고 있는 모습을 보고서 아론에게 추궁합니다.
이때 아론은 정색하고서 백성이 악함을 이미 알고 있지 않냐는 투로 말하면서 이런 죄들이 백성이 악하므로 일어난 결과라고 둘러댔습니다.
그리고 금송아지를 만들라고 한 것은 내가 하고 싶어서 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이 요구했기에 한 것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이는 아론의 거짓말입니다.
2절을 보면 ‘아론이 그들에게 이르되’라고 말합니다.
5절에 ‘아론이 보고 그 앞에 제단을 쌓고 이에 아론이 공포하여 이르되’라고 말합니다.
아론이 모든 일을 주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분명 자기가 모든 일을 주관했음에도 불구하고 변명하며 오히려 백성이 악하다고 남탓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론은 자기가 책임져야 할 잘못을 감추기 위하여 교묘하게 거짓말을 하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25-29절)
모세는 백성의 무분별한 모습을 보았습니다.
이때 모세는 ‘누구든지 여호와의 편에 있는 자는 내게로 나아오라’라고 합니다.
그러자 레위 자손이 다 모여 그에게로 옵니다. 이때 허리에 칼을 차고 진 이 문에서 저 문까지 왕래하며 우상을 섬기는 자들을 죽이도록 합니다.
그래서 레위 자손은 모세의 말대로 행하며 이날에 백성 중에 3,000명가량을 죽였습니다.
그런데 모세는 이들의 행위를 보고 ‘각 사람이 그 아들과 그 형제를 쳤으니 오늘날 여호와께 헌신하게 되었느니라 그가 오늘날 너희에게 복을 내리시리라’라고 말합니다.
레위는 야곱에게 저주를 받은 아들입니다(창 49:5-7). 그러나 그들의 반복되는 저주의 사슬을 끊은 것은 하나님을 향한 헌신이며, 그것을 실행할 빠른 결단이었습니다.
사실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요 백성으로 살아가지만,
여전히 죄의 사슬, 습관들을 끊어내지 못해 저주 스런 삶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끊어내려고 하면, 또 문제가 발생하려 다시 죄를 지었던 삶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일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해주시고 살려 주시겠지만, 그러기 전까지는 너무나 괴롭고 갈등하는 삶으로 피곤해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갈등에서 벗어나 하나님 편에서서 헌신하는 삶을 결단하는 것은 그 자신에게 큰 유익이 된다는 것을 경험으로 깨닫게 됩니다.
부디 여러분들도 그런 시행착오를 줄여가시고 빠른 결단으로 하나님의 편에서 헌신하는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30-35절)
모세는 백성의 큰 죄로 인해 큰 슬픔에 빠집니다.
그리고 백성들의 죄를 용서해 달라고 간구합니다.
바로 앞에서 하나님이 진노하실 때하나님의 노를 진정 시키는 일에 앞장 섰지만
막상 와서 보니 그들의 죄의 참상을 보고 하나님 앞에서 얼굴을 들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저.... 하나님의 은혜만 구할 뿐입니다.
심지어 모세는 이렇게 기도합니다.
'원하건대 주께서 기록하신 책에서 내 이름을 지워 버려 주옵소서’
모세는 자신의 책임을 남에게 전가하고 변명으로 일관한 아론과는 달랐습니다.
동족을 위하여 죽기를 각오하는 기도였습니다.
자기가 한 말에 대하여 그것을 지키기 위하여 책임을 지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가장 큰 문제가 있다면 책임져야 할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책임회피의 문제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정에서 교회에서 사회에서 직장에서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있다면 책임을 질 줄 아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모두 다 공동 책임자입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게 내 탓이다' 하면서 자기 자신에게 책임을 돌릴 수 있는 성숙한 신앙인이 되도록 합시다.
또한 우리는 세상과 하나님의 중간에 선자들입니다.
그것을 제사장이라 부르지요...
우리는 세상을 등에지고 그들의 문제를 나의 문제로 알고 하나님께 나아가는 사람이 제사장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