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복음 2:41-52


41. 그의 부모가 해마다 유월절이 되면 예루살렘으로 가더니

42. 예수께서 열두 살 되었을 때에 그들이 이 절기의 관례를 따라 올라갔다가

43. 그 날들을 마치고 돌아갈 때에 아이 예수는 예루살렘에 머무셨더라 그 부모는 이를 알지 못하고

44. 동행 중에 있는 줄로 생각하고 하룻길을 간 후 친족과 아는 자 중에서 찾되

45. 만나지 못하매 찾으면서 예루살렘에 돌아갔더니

46. 사흘 후에 성전에서 만난즉 그가 선생들 중에 앉으사 그들에게 듣기도 하시며 묻기도 하시니

47. 듣는 자가 다 그 지혜와 대답을 놀랍게 여기더라

48. 그의 부모가 보고 놀라며 그의 어머니는 이르되 아이야 어찌하여 우리에게 이렇게 하였느냐 보라 네 아버지와 내가 근심하여 너를 찾았노라

49. 예수께서 이르시되 어찌하여 나를 찾으셨나이까 내가 내 아버지 집에 있어야 될 줄을 알지 못하셨나이까 하시니

50. 그 부모가 그가 하신 말씀을 깨닫지 못하더라

51. 예수께서 함께 내려가사 나사렛에 이르러 순종하여 받드시더라 그 어머니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두니라

52. 예수는 지혜와 키가 자라가며 하나님과 사람에게 더욱 사랑스러워 가시더라


-----------------------------------


오늘 본문은 사복음서에서 예수님의 유년 시절을 다루는 유일한 부분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어느 한 날 갑자기 구세주로 나타나신 게 아니라 아기로 오셨고, 평범한 부모의 양육을 받으며 30년을 보내신 예수님을 보면서,

우리는 자기 백성의 구원을 위해 일상 속에서 기적을 일으키시는 하나님의 오랜 사랑을 발견하게 됩니다. 구원의 소망이 사라져버린 시대를, 버려두지 않으시고, 아들을 보내시고 긴 세월을 준비하셨던 것처럼, 우리의 삶에도 개입하셔서 하나님의 뜻대로 인도하시는 줄 믿습니다.

(41~45)

예수님은 경건한 가족 공동체 속에서 자라나셨습니다.

그의 부모가 해마다 유월절이 되면 예루살렘으로 가더니 (41)

유대인 남자들은 1년에 세 번,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때면 예루살렘에 가서 예배해야 했습니다. 남자들에게는 의무였지만 신앙이 좋은 가족들은 함께 여행을 함께하기도 했습니다. 갈릴리에서 예루살렘까지는 직선거리로도 100km 정도 되는 먼 거리였습니다. 사마리아를 우회한다면 그보다 훨씬 더 먼 130km 정도로, 4-5일은 족히 걸렸을 것입니다.

그 길을 요셉과 마리아가 아직 성전에 가야하는 의무가 주어지지 않은 열두 살의 예수를 데리고 성전에 갔다는 것은 그들의 신앙이 자발적이었고, 또 깊었음을 잘 보여줍니다.

목수라는 비천한 직업을 가졌던 요셉은 그리 풍족하게 가정을 꾸릴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 그가 생업을 중단하면서까지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가족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향했다는 오늘의 말씀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신앙의 의무가 주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먹고사는 문제와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 상충될 때, 신앙적인 선택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둘이 서로 상충될 때, 오늘 요셉이 열두 살의 예수님을 데리고 생업을 중단하고 예루살렘으로 향했던 것처럼 내가 아닌 하나님을 선택하는 것이 신앙인입니다.

말로는 신앙생활이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하나님 중심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하면서도,

정작 중요한 때에 신앙적인 결정들을 포기해 버린다면, 결국 그런 결정들을 보고 자란 자녀들은 하나님을 떠나고 맙니다.

한두 번으로는 아무런 표시가 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런 결정들이 결국 그 부모가 하나님을 섬기는 것 같으나 실상은 하나님을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사는 실천적 무신론자임을 드러내게 되고, 자녀는 장성한 후에 하나님을 떠나버리고 마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다운 결정을 해나가는 오늘이 모여 우리의 삶이 될 때, 우리 삶이 주는 울림이 자식에게까지 영향을 미쳐 그들의 삶을 말씀의 반석 위에 세우게 될 것입니다.

(46-50)

유월절 예배를 마치고 돌아갈 때, 예수는 부모와 함께 있지 않고 예루살렘 성전에 머물렀습니다. 요셉과 마리아는 이를 알지 못한 채 나사렛으로 발걸음을 돌립니다. 하룻길 간 후 아들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부모는 친족과 아는 자들 중에서 아들을 찾지만 찾을 수 없었습니다.

다시 왔던 길로 되돌아 가다가 결국은 성전으로 돌아 왔는데 거기서 예수님을 만난 것입니다.

부모가 성전을 떠나려할 때부터 줄곧 그곳에 있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사흘 후에 성전에서 만난즉 그가 선생들 중에 앉으사 그들에게 듣기도 하시며 묻기도 하시니 듣는 자가 다 그 지혜와 대답을 놀랍게 여기더라(46-47)

예수님은 선생들과 함께 앉으셔서 토론하셨습니다. “선생들 중에”라고 표현된 “엔 메소”라는 표현은 사람들 한 가운데 위치했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예수님은 그저 듣는 사람의 하나로 그곳에 계셨던 것이 아니라 율법 교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그들에게 둘러쌓인 채로 토론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지혜와 대답, 곧 통찰력 있는 답변을 놀랍게 여겼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놀랐다는 말 “엑시스테미”는 하나님의 권능이 나타날 때 이를 목격한 사람들이 느끼는 경이감을 나타낼 때 쓰는 말입니다.

단순히 신동이다, 영재다 이 정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로서 말씀에 대한 이해력을 드러내신 예수님에게서 하나님의 권능을 엿보았다는 의미입니다.

이러는 사이 부모가 예수를 발견하고 나무랍니다. 잃어버린 자식을 찾으면서 겪는 불안감과 초조한 마음을 드러내는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자식으로서 부모의 동선을 따라야 했다는 당연한 룰을 어긴 것에 대한 꾸중입니다. 여기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입니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어찌하여 나를 찾으셨나이까 내가 내 아버지 집에 있어야 될 줄을 알지 못하셨나이까 하시니(49)

원문에는 집이라는 표현이 없습니다. 우리말로 집이라 한 것은 의역이며, 지금 계신 곳이 성전이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이 표현에서 더 중요한 것은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내 아버지”라고 부른 사실입니다.

고대 유대 문헌들을 살펴봐도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라고 표현한 적은 있지만, “나의 아버지”라고 부른 적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예수님이 하나님을 “내 아버지”라고 말씀하신 것은 상당히 독특한 표현으로, 성자 예수님께서 자신이 누구이며, 앞으로 해야 할 일들에 대해 정확하게 어떤 길로 나아갈지 알고 계셨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주님은 그렇게 하나님과의 관계를 알고, 자신이 걸어가야 할 길을 준비하셨습니다.

그 부르심의 첫 단추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처음으로 스스로 밝힌 것이 오늘의 본문인 것이죠.

사랑 하는 성도 여러분,

나는 지금 부르심에 합당한 삶을 살고 있는가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근본적인 고민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나는 나를 창조하시고 구원하셨으며, 지금도 함께하시는 하나님과 긍정적인 관계아래 있는가를 마립니다. 모든 것의 출발은 하나님과의 관계입니다.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신앙심은 믿음이 아니라 종교일 뿐입니다.

이렇게 부모님을 만난 예수님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갔고, 그의 부모님께 순종하며 삽니다.

(51-52) 예수께서 함께 내려 가사 나사렛에 이르러 순종하여 받드시더라 그 어머니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두니라 예수는 지혜와 키가 자라가며 하나님과 사람에게 더욱 사랑스러워 가시더라

이제 이후로 18년의 삶을 어떻게 사셨는지는 복음서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대가족의 맏이로서 목수였던 아버지를 도왔고, 요셉의 사후 가족의 생계를 책임졌을 것입니다. 18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예수님은 키가 자랄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짊어져야 할 인생의 무게에 대해 깊이 체감하는 시간, 오늘 본문에서 지혜로 표현된 통찰력을 기르는 시간을 가지셨을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하나님이신 주님께도 이런 시간이 필요했다면, 오늘 우리도 오랜 시간 동안 하나님의 말씀으로 단련 받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한두 번의 실패에 좌절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긴 호흡으로 우리 인생을 조망하며 스스로를 훈련시켜 나가는 과정이 우리의 삶이며 신앙의 여정입니다.

처음부터 완벽할 수 없습니다. 좌절과 고통은 어쩌면 필연입니다.

주님께서 30년이라는 일상을 통과하여 사명을 향해 나아가신 것처럼...

긴 호흡으로 하루하루를 성실히 우리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시는 새바람공동체가 다 되시길 축복합니다.

Comments


세종 특별자치시 나성동 788. 메가타워2차  1001​호

Tel: 044-868-4008

2windownam@gmail.com

①주일헌금 계좌번호: 농협 351-1023-3799-13 

​②선교헌금 계좌번호: 농협 351-1116-2538-43

   성령의 새바람교회

  • Instagram
  • Facebook
  • Twitter
  • YouTube

@2017 by Ruach Communitty Church.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