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식놀이터

공개·회원 1명

반유대주의(anti-Judaism 또는 anti-Semitism) 정서가 형성되고 확산된 배경



1. 예루살렘 성전 파괴 (AD 70년)

  • 로마의 티투스 장군이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함.

  • 이 사건은 유대 민족의 심판으로 해석되며, 이후 기독교 안에서 "하나님은 유대인을 버리셨다"는 식의 해석이 등장.

  • 초기 교부들은 이 사건을 기독교의 정당성 증명으로 해석함.


2. 바르 코크바 반란 (AD 132–135년)

  • 유대인들이 로마에 대대적으로 반란을 일으켰고, 로마는 이를 진압하면서 유대인 박해 강화.

  • 이때 유대교와 기독교는 확실히 갈라섬. 유대인은 정치적 반란자, 기독교는 로마에 협력하는 비유대 종교로 인식되기 시작.

  • 이후 로마 정책에서도 기독교는 유대교와 구별되는 독자 종교로 취급됨.

3. 교부들의 반유대적 저술 (2~4세기)

  • 교회 내부에서 유대교 전통을 배제하고, 유대인을 비난하는 설교·저술이 등장함.

※ 요한 크리소스톰의 글은 중세 이후 반유대주의 이데올로기에 직접 인용될 정도로 영향력이 큼.


4. 니케아 공의회(325년) 이후 정책적 거리두기

  • 부활절 날짜를 유대력에서 분리(앞서 언급)

  • 유대식 절기, 전통, 안식일을 의도적으로 폐지하고 주일과 교회력 강조

  • “유대적 요소는 기독교에 부적절하다”는 의식 강화

5. 중세 교회법과 차별 제도화

  • 유대인은 교회에서 배척되어야 한다는 법령 제정 (예: 제4차 라테란 공의회, 1215년 – 유대인에게 별도 복장 착용 강제)

  • 직업 제한, 주거 제한(Ghetto), 교회와의 결혼 금지 등

6. 십자군 운동 (11~13세기)

  • 십자군이 성지로 향하면서 유럽 내 유대인 공동체를 공격하는 사건 발생 (예: 1096년 제1차 십자군 – 독일·프랑스 유대인 학살 사건)

  • 종교적 열망이 유대인 혐오로 비화

7. 종교재판과 반유대 정책

  • 스페인 종교재판에서 유대인 개종자를 ‘불순한 기독교인’으로 간주하여 처형과 추방

  • 1492년 스페인 유대인 추방령


참고문헌

  • James Carroll,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 Rosemary Ruether, Faith and Fratricide: The Theological Roots of Anti-Semitism

  • John Gager, The Origins of Anti-Semitism

  • William Nicholls, Christian Antisemitism: A History of Hate


3회 조회

소개

그룹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다른 회원과의 교류 및 업데이트 수신, 미디어 공유 등의 활동을 시작하세요.

bottom of page